멀지 않은 미래, 마스크와 공기 정화 기능을 갖춘 몇 개의 대피소만이 우리 숨통을 트이게 한다면? 필사적으로 대피소를 향해 달려라.
그리고
결코,
절대,
Foggy 하지마.
화석 연료 사용, 각종 장비에서 나오는 매연, 공사장의 분진 등 다양한 원인을 통해 공기의 질이 오염되고 있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으로 악화된 공기는 우리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불쾌하게도 이미 일상이 되어버려서, 개인이 공기 질 개선을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사실 엄두조차 나지 않는다.
전 세계 공장의 중심, 중국에서는 안개같이 자욱한 미세먼지 때문에 개인용 산소통을 이미 개발하고 판매 중이다. 이는 과연 중국만의 일일까?
안무·연출 : 조현상
출연 : 김이안, 민경림, 박재혁, 안송은, 이효선, 임예진
음악 : Kevin MacLeod - Minima Metaphysik
영상감독 : 조현상
촬영조감독 : 장아영
프로듀서 김서현
기획·홍보 : 서울아트랩
장소협조 : 정선 삼탄아트마인 익산 구룡마을 대나무숲 군산 하제선착장 서울 용마랜드
후원 : GS리테일 환경재단 에코크리에이터
EP2. 2022 문화도시 조성사업 '슬기로운 공유문화' 선정작
[NAKED]
아름다움을 몸에 걸치기 위해 입은 옷들이
결국은 막대한 양의 의류 폐기물이 되어
우리 지구의 살점을 찢기고, 벗기고 있다.
N-A-K-E-D
헌 옷의 90%가 ‘수출’이라는 이름으로 개발도상국에 투기되고 있다. 전 세계 인구 수 20위권 밖에 있는 한국의 의류 폐기율은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높다. 인간의 욕심으로 과잉 생산되고, 과잉 소비되고 있는 것이다.
전 세계 선박과 항공 산업이 뿜어내는 온실가스의 양보다 의류 산업이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양이 현저히 많다는 사실은 알고 있는가?
안무/연출/출연 : 안송은
촬영 : 조현상
편집 : 민경림
촬영조감독 : 박재혁, 이효선
예술감독 : 조현상
음악 : Can It - Coyote Hearing | Alpha Mission - Jimena Contreras | Hopeless - Jimena Contreras
프로듀서 : 김서현
기획 : 서울아트랩
후원 : 수원시, 수원문화재단 포아티스트
장소협조 : 스튜디오포아트
EP3. 다크서클즈 컨템포러리 댄스 자체제작 프로젝트
[On the Table]
당신은 오늘도 만개의 바닷속 플라스틱 알갱이를 먹었다.
바다에 가지도 않았는데 그럴 리가 없다고?
아니, 분명히 먹었다. 어디서?
On the Table
무분별한 발전과 인간의 욕심이 만든 육지의 변화들에 비하면 바다의 오염은 그보다 덜 심각해보이지만, 제대로 속을 들여다보라. 바다는 육지보다 더 근본적이고 광범위한 문제를 안고 있다.
플라스틱은 대량 생산 약 70년만에 바다를 점령해, 이젠 마치 바닷물 성분 중 하나인 듯 하다. 바다 생물은 이 미세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해 먹고, 인간은 식탁 위로 올라온 그들을 먹는다. 미세 플라스틱을 먹고 자란 바다 생물이 건강하지 않다고 느껴진다면, 당신의 건강도 장담할 수 없다.
바다의 신음 소리가 들리고 있지 않은가?
어디서?
On the Table
안무/연출 : 민경림
출연 : 김이안, 박재혁, 안송은, 이효선, 임예진, 이재연
촬영 : 조현상
편집 : 민경림
예술감독 : 조현상
음악 : Ambient | Fresno Alley - Rock | Cinematic Tension
EP1. GS 리테일 X 환경재단 에코크리에이터 제작지원작
[Foggy 하지마]
멀지 않은 미래, 마스크와 공기 정화 기능을 갖춘 몇 개의 대피소만이 우리 숨통을 트이게 한다면? 필사적으로 대피소를 향해 달려라.
그리고
결코,
절대,
Foggy 하지마.
화석 연료 사용, 각종 장비에서 나오는 매연, 공사장의 분진 등 다양한 원인을 통해 공기의 질이 오염되고 있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으로 악화된 공기는 우리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불쾌하게도 이미 일상이 되어버려서, 개인이 공기 질 개선을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사실 엄두조차 나지 않는다.
전 세계 공장의 중심, 중국에서는 안개같이 자욱한 미세먼지 때문에 개인용 산소통을 이미 개발하고 판매 중이다. 이는 과연 중국만의 일일까?
안무·연출 : 조현상
출연 : 김이안, 민경림, 박재혁, 안송은, 이효선, 임예진
음악 : Kevin MacLeod - Minima Metaphysik
영상감독 : 조현상
촬영조감독 : 장아영
프로듀서 김서현
기획·홍보 : 서울아트랩
장소협조 : 정선 삼탄아트마인 익산 구룡마을 대나무숲 군산 하제선착장 서울 용마랜드
후원 : GS리테일 환경재단 에코크리에이터
EP2. 2022 문화도시 조성사업 '슬기로운 공유문화' 선정작
[NAKED]
아름다움을 몸에 걸치기 위해 입은 옷들이
결국은 막대한 양의 의류 폐기물이 되어
우리 지구의 살점을 찢기고, 벗기고 있다.
N-A-K-E-D
헌 옷의 90%가 ‘수출’이라는 이름으로 개발도상국에 투기되고 있다. 전 세계 인구 수 20위권 밖에 있는 한국의 의류 폐기율은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높다. 인간의 욕심으로 과잉 생산되고, 과잉 소비되고 있는 것이다.
전 세계 선박과 항공 산업이 뿜어내는 온실가스의 양보다 의류 산업이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양이 현저히 많다는 사실은 알고 있는가?
안무/연출/출연 : 안송은
촬영 : 조현상
편집 : 민경림
촬영조감독 : 박재혁, 이효선
예술감독 : 조현상
음악 : Can It - Coyote Hearing | Alpha Mission - Jimena Contreras | Hopeless - Jimena Contreras
프로듀서 : 김서현
기획 : 서울아트랩
후원 : 수원시, 수원문화재단 포아티스트
장소협조 : 스튜디오포아트
EP3. 다크서클즈 컨템포러리 댄스 자체제작 프로젝트
[On the Table]
당신은 오늘도 만개의 바닷속 플라스틱 알갱이를 먹었다.
바다에 가지도 않았는데 그럴 리가 없다고?
아니, 분명히 먹었다. 어디서?
On the Table
무분별한 발전과 인간의 욕심이 만든 육지의 변화들에 비하면 바다의 오염은 그보다 덜 심각해보이지만, 제대로 속을 들여다보라. 바다는 육지보다 더 근본적이고 광범위한 문제를 안고 있다.
플라스틱은 대량 생산 약 70년만에 바다를 점령해, 이젠 마치 바닷물 성분 중 하나인 듯 하다. 바다 생물은 이 미세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해 먹고, 인간은 식탁 위로 올라온 그들을 먹는다. 미세 플라스틱을 먹고 자란 바다 생물이 건강하지 않다고 느껴진다면, 당신의 건강도 장담할 수 없다.
바다의 신음 소리가 들리고 있지 않은가?
어디서?
On the Table
안무/연출 : 민경림
출연 : 김이안, 박재혁, 안송은, 이효선, 임예진, 이재연
촬영 : 조현상
편집 : 민경림
예술감독 : 조현상
음악 : Ambient | Fresno Alley - Rock | Cinematic Tension
프로듀서 : 김서현
기획 : 서울아트랩
후원 : 포아티스트
장소협조 : 스튜디오포아트